'LifeRecord'는 혈압, 혈당 같은 '건강측정데이터', 다양한 웨어러블
기기에서 생성되는 '라이프로그', 여러병원의 '진료기록'을 통합
저장/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.
LifeRecord는 Google Fit, Apple HealthKit, Samsung
S-Health와 같은 글로벌 디지털 헬스 플랫폼과 호환됩니다.
사용자는 LifeRecord를 사용해서 자신의 건강기록을 수집, 관리, 공유할 수 있습니다.
라이프레코드 BaaS (Backend as a Service)
'LifeRecord’는 개인의 건강기록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
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.
LifeRecord BaaS는 3rd Party 서비스 제공자를 위한
개발자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, 사용자가 입력하는
기록들을 사용자의 상황에 적합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
있도록 도와줍니다.
라이프레코드 BaaS 시스템은 국제표준 개인정보보호 인증(ISO 27001, ISO 27017, ISO 27799) 과
한국인터넷진흥원(KISA)의 PIMS 인증(’17년 9월 예정)을 모두 획득한 국내 최초의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개인
데이터와 3rd Party 데이터는 안전하게 보관 관리됩니다.
efil 로그인
에필 회원가입/로그인 API는 서비스 제공자의 앱에서 별도의 회원가입 및 로그인 대신 에필 계정을 이용하여 간편하게
회원가입과 로그인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. 사용자의 별도 가입절차가 필요없기 때문에 빠르게 회원가입,
로그인을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자체 회원가입 기능과 병행하여 활용할 수 있습니다.
회원관리
활용사례 #1 (권장)
앱 서비스의 회원가입 시 온전히 efil 계정을 이용하면 모든 사용자가 라이프레코드 기반의 통합 개인건강기록을 활용할
수 있습니다. 라이프레코드 플랫폼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방식을 권장합니다.
활용사례 #2
라이프레코드 BaaS 는 3RD PARTY 가 자체 회원 가입 체계를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. BaaS 의 회원 가입 API를 활용하면 자체 회원관리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, 라이프레코드의 개인건강관리 모델 스키마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.
푸시 알림 발송
사용자에게 푸시 알림을 보내기 위해 별도의 푸시 서버를 구축할 필요 없이 간단한 작업만으로 안정적으로 푸시를 보낼 수 있습니다.
라이프레코드는 푸시 메시지 발송을 위해 구글의 FCM 기능을 활용합니다. 푸시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구글에서 발급받은 FCM 키를 등록하여야 합니다. [구글 FCM 키 발급받기] FCM을 사용하면 새 이메일이나 기타 데이터를 동기화할 수 있음을 클라이언트 앱에 알릴 수 있습니다.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여 사용자를 유지하고 재참여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. 채팅 메시지와 같은 사용 사례에서는 메시지로 최대 4KB의 페이로드를 클라이언트 앱에 전송할 수 있습니다.